목록2024/07 (2)
길 위에서
■ 와유(臥遊) 7 벽운동천(碧雲洞天) "회운동(晦雲洞)은 수락산의 회곡(晦谷)으로, 부친이 살고자 했던 바로 그 땅이다. 그리고 회곡에 숨었다 하여 호를 회은(晦隱)이라 하였다. 남학명은 뜻을 이루지 못한 부친을 대신해 이곳에 재사(齋숨)를 짓고 1691년 박세채(朴世采)로부터 기문을 받아 걸었다. 남학명은 이 곳에 집을 정한 기념으로 이의춘(李宜春), 최석정 등과 어울려 시를 주고받았다. 물가에 나란히 앉아 술잔을 돌리기도 하였다. 정자 옆의 소나무 뿌리 아래에 작은 항아리를 묻고 술에 푸른 솔잎을 담가두었다가 단풍과 국화가 아름다운 8월 그믐날 최석정과 그 아들 최창대 (崔昌大), 족제 (族弟) 남학증(南鶴增) 등과 어울려 항아리를 열고 술자리를 벌인 일도 있다." -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
■ 진경산수 2높이 올라 멀리 간 사람 바라보네 한국의 ‘Alpinism’은 인수봉으로 인해 시작되었다. 근교의 모든 암봉이 걸어올라갈 수 있지만 인수봉은 그렇지가 않았다. 도저히 오를 수가 없어보였다. 그 이유 하나로 시작된 이 땅의 알피니즘.오랜 세월 인수봉은 다양한 이미지로 기록되었다. 그냥 높은 봉우리로 산을 상징하였고 소의 뿔로 여겼으며, 멀리서보니 창같이 뾰족하게 생겼다고도 한다. 조선에서는 꼭대기에 뛰어나온 부분 때문에 부아암(負兒岩)이라고도 하였고 누구는 사찰의 풍경(風磬)을 떠올렸다. 조선 후기 경화세족들은 자신의 거처를 그림으로 남길 때, 인수봉을 배경으로 하여 자신의 세도를 은연중 자랑하기도 했다. 동산계정도(東山溪亭圖, 김윤겸), 양주송추도(楊州松楸圖, 정황), 청담도(淸潭圖,정선)..